본문 바로가기
AI 리더의 시대

도구 호출 완전 이해 – AI의 새로운 팔과 다리

by woojoon 2025. 11. 12.
반응형

 

AI 도구 호출 관련 이미지

 

AI가 진정한 의미에서 ‘지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능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세상과 직접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읽고, 파일을 수정하며, 명령을 실행하는 **‘행동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역할을 수행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도구 호출(Tool Use)**입니다. 도구 호출은 AI 모델이 외부 API, 코드베이스, 데이터베이스, 또는 OS 명령어를 스스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AI의 손과 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AI는 단순한 언어 모델에서 벗어나, 실제로 세상을 ‘조작할 수 있는 존재’로 진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AI의 도구 호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Cursor·Replit·LangChain·OpenAI Functions 등 대표적인 시스템에서 이 기술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I가 도구를 사용하는 방식 – 인간의 손을 빌리지 않는 인공지능

AI가 도구를 사용하는 원리는 놀라울 정도로 인간의 학습 과정과 닮아 있습니다. 인간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구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처럼, AI도 스스로 외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예를 들어 AI가 “src/components/Button.tsx 파일의 오류를 수정해줘”라는 요청을 받으면, 그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작업을 수행합니다.

1️⃣ **문맥 이해** – LLM은 사용자의 지시를 분석하고, 필요한 정보(파일, 경로, 명령 등)를 판단합니다. 2️⃣ **도구 선택** – ‘read_file’, ‘write_file’, ‘run_shell’ 등의 도구 중 적합한 것을 스스로 선택합니다. 3️⃣ **도구 호출** – 정해진 파라미터와 함께 외부 시스템(API나 IDE)에 명령을 실행합니다. 4️⃣ **결과 해석 및 피드백** – 실행 결과를 다시 받아 분석하고, 추가 행동을 결정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AI는 마치 개발자가 IDE를 사용하는 것처럼, 파일을 수정하고, 테스트를 실행하며,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율적 반복 구조가 바로 AI Agent의 ‘팔과 다리’ 역할을 수행하는 도구 호출 시스템입니다. AI는 단순한 텍스트 응답을 넘어, **‘실행 가능한 결과’를 직접 만들어내는 존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Cursor·Replit·LangChain·OpenAI Functions 구조 분석

AI의 도구 호출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프레임워크는 다양하지만, 핵심 개념은 ‘LLM + 함수 호출(Function Calling)’의 결합입니다. 대표적인 네 가지 플랫폼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Cursor – 실시간 코드 조작형 AI IDE
Cursor는 AI가 개발자의 IDE 안에서 직접 파일을 읽고 수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환경입니다. AI는 ‘read_file’, ‘write_file’, ‘search_code’ 같은 도구를 호출하여 프로젝트 구조를 이해하고 자동으로 수정합니다. 사용자는 단순히 목표를 제시하면, AI가 스스로 코드를 분석하고 리팩터링까지 진행합니다. 이는 인간이 코드를 ‘작성’하던 패턴을 완전히 바꾼, **AI 주도형 개발 환경**입니다.

② Replit – AI와 코드의 공동 편집 플랫폼
Replit은 클라우드 기반 환경에서 AI가 셸 명령을 직접 실행하고 파일 시스템을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여기서 AI는 사용자의 코드를 실행하고 오류를 디버깅하며, 프로젝트를 빌드할 수 있습니다. AI의 도구 호출은 서버 환경의 API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덕분에 AI가 **‘인간 개발자처럼 행동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③ LangChain – 멀티도구 오케스트레이션 프레임워크
LangChain은 여러 도구를 조합하여 하나의 논리적 에이전트를 만드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예를 들어 ‘검색(Search) → 데이터 분석(Analysis) → 결과 요약(Summary)’의 세 단계를 각각 다른 도구에 맡기고, AI가 그 순서를 스스로 조정합니다. LangChain의 강점은 도구 간 **연결성과 순차적 제어 능력**으로, 이것이 바로 ‘멀티에이전트 협업 시스템’의 기초가 됩니다.

④ OpenAI Functions – 표준화된 도구 호출 방식
OpenAI Functions는 도구 호출의 표준을 제시한 기술로, AI가 함수 정의(JSON Schema 기반)를 해석하고 스스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서울의 날씨를 알려줘”라는 요청이 들어오면, AI는 weather_api() 함수를 인식하고, 필요한 매개변수를 생성하여 직접 호출합니다. 이 방식은 API 사용의 문턱을 낮추고, **AI가 스스로 개발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도구 호출은 AI 자율성의 시작이다

도구 호출은 단순한 기술 기능이 아니라, **AI 자율성의 본질적인 출발점**입니다. AI는 이제 언어를 이해하는 존재를 넘어, 행동하고 실행하는 존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Cursor는 AI가 개발자의 IDE 안에서 코드를 편집하게 만들었고, LangChain은 여러 도구를 엮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했으며, OpenAI Functions는 AI에게 ‘함수를 직접 호출하는 언어’를 부여했습니다. 결국 도구 호출은 AI가 인간과 동일한 환경에서 ‘손으로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준 셈입니다. 하지만 이 강력한 능력에는 동시에 책임도 따릅니다. 도구를 잘못 호출하면 의도치 않은 시스템 변경이나 오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래의 AI 리더와 개발자는 **도구 호출의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AI의 팔과 다리를 설계하는 일은 결국 ‘어떤 세계를 만들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이며, 이 기술을 올바르게 다루는 것이 인공지능 시대의 가장 중요한 리터러시가 될 것입니다.

반응형